회사는 근로자가 노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신체상의 해를 입지 않도록, 근로환경을 정비해야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습니다.
"사용자는 고용 또는 근로계약에 수반되는 신의칙상의 부수적 의무로서 피용자가 노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명, 신체, 건강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물적 환경을 정비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할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를 부담하고, 이러한 의무를 위반함으로써 피용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진다(대법원 1999. 2. 23. 선고 97다12082 판결 등 참조).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의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 위반 행위가 불법행위의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채무불이행책임과 경합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도 부담하게 된다(대법원 1997. 4. 25. 선고 96다53086 판결 등 참조)."
한편 파견근로자의 경우, 자신이 근로계약을 체결한 회사(이하 '파견사업주'라고 합니다)와 실제로 노무를 제공하는 회사(이하 '사용사업주'라고 합니다)가 다르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실제로 노무를 제공하는 회사에 대하여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 이행을 주장할 수 있는지가 문제됩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근로자파견관계에서 파견사업주는 근로자를 고용한 후 그 고용관계를 유지하면서 사용사업주와 근로자파견계약을 체결하여 근로자를 파견하고, 이에 따라 파견근로자는 사용사업주의 지휘·명령을 받아 사용사업주를 위한 근로에 종사하게 되므로, 파견근로자가 파견근로 중에 직면하는 생명, 신체, 건강에 대한 위험은 대부분 사용사업주가 지배·관리하는 영역에서 발생합니다.
즉, 사용사업주는 파견근로자와 직접 근로계약을 체결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실제 근로환경을 제공하는 자인바, 직접 파견근로자에 대하여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를 부담하는지가 문제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대법원은 근로자파견관계에서 사용사업주와 파견근로자 사이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파견근로와 관련하여 사용사업주가 파견근로자에 대한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를 부담한다는 점에 관한 묵시적인 의사의 합치가 있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사용사업주의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 위반으로 손해를 입은 파견근로자는 사용사업주와 직접 고용 또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위와 같은 묵시적 약정에 근거하여 사용사업주에 대하여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 위반을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근로자파견에서의 근로 및 지휘·명령 관계의 성격과 내용 등을 종합하면, 파견사업주가 고용한 근로자를 자신의 작업장에 파견받아 지휘·명령하며 자신을 위한 계속적 근로에 종사하게 하는 사용사업주는 파견근로와 관련하여 그 자신도 직접 파견근로자를 위한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를 부담함을 용인하고, 파견사업주는 이를 전제로 사용사업주와 근로자파견계약을 체결하며, 파견근로자 역시 사용사업주가 위와 같은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를 부담함을 전제로 사용사업주에게 근로를 제공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그러므로 근로자파견관계에서 사용사업주와 파견근로자 사이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파견근로와 관련하여 사용사업주가 파견근로자에 대한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를 부담한다는 점에 관한 묵시적인 의사의 합치가 있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사용사업주의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 위반으로 손해를 입은 파견근로자는 사용사업주와 직접 고용 또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위와 같은 묵시적 약정에 근거하여 사용사업주에 대하여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 위반을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약정상 의무 위반에 따른 채무불이행책임을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하여는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민법 제766조 제1항의 소멸시효 규정이 적용될 수는 없다.(대법원 2013.11.28. 선고 2011다60247 판결)"
요컨대, 파견근로자가 산업재해를 당했을 경우,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는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 위반을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책임이 있습니다.
'생활법률 > 노동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상 퇴직연금채권 전액에 관하여는 압류가 금지됩니다. (0) | 2015.04.06 |
---|---|
새로운 통상임금 기준에 따른 육아휴직급여 차액, 다시 신청 가능 (0) | 2015.03.25 |
해고가 무효임에도 회사가 복직을 거부한 경우 (0) | 2015.01.20 |
근로자가 취업시 이력서에 학력을 허위기재하였거나 일부러 누락한 경우 해고사유가 되는가 (0) | 2015.01.12 |
기간제 근로 2년 초과에 따른 무기계약 전환, 단시간근로자로 일한 기간은 포함 되지 않는다! (0) | 201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