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인 A는 마치 자신이 여성인 것처럼 행세하며 휴대전화 채팅프로그램을 통하여 피해자들과 영상통화를 하면서 피해자들로 하여금 자위행위를 하도록 유도하고 그러한 영상을 휴대전화로 저장하였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다른 사람의 신체를 그 의사에 반하여 촬영한 것이어서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에 해당한다고 할 수있을까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는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 ① 카메라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신체를 그 의사에 반하여 촬영하거나 그 촬영물을 반포·판매·임대·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상영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 제1항의 촬영이 촬영 당시에는 촬영대상자의 의사에 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사후에 그 의사에 반하여 촬영물을 반포·판매·임대·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상영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③ 영리를 목적으로 제1항의 촬영물을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항제1호의 정보통신망(이하 "정보통신망"이라 한다)을 이용하여 유포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대법원은 죄형법정주의상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 제1항의 처벌대상이 '다른 사람의 신체 그 자체'를 카메라 등 기계장치를 이용해서 '직접' 촬영하는 경우에 한정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다른 사람의 신체 이미지가 담긴 영상도 위 조항의 '다른 사람의 신체'에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위 사안에서 성폭력처벌법 제14조 각 항의 위반으로 인한 공소사실은 무죄로 확정되었습니다.
대법원 2018. 3. 15. 선고 2017도21656 판결
위 각 규정에 의하면,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제1항의 촬영의 대상은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신체’라고 보아야 함이 문언상 명백하므로 위 규정의 처벌 대상은 ‘다른 사람의 신체 그 자체’를 카메라 등 기계장치를 이용해서 ‘직접’ 촬영하는 경우에 한정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므로, 다른 사람의 신체 이미지가 담긴 영상도 위 조항의 ‘다른 사람의 신체’에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법률문언의 통상적인 의미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죄형법정주의 원칙상 허용될 수 없고(대법원 2013. 6. 27. 선고 2013도4279 판결 참조),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제2항 및 제3항의 촬영물은 ‘다른 사람’을 촬영대상자로 하여 그 신체를 촬영한 촬영물을 뜻하는 것임이 문언상 명백하므로, 자의에 의해 스스로 자신의 신체를 촬영한 촬영물까지 위 조항 소정의 촬영물에 포함시키는 것은 문언의 통상적인 의미를 벗어난 해석이라고 할 것이다.
여수 형사 변호사
변호사 이명일
'생활법률 > 형사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 음주운전, 음주측정거부 처벌 - 여수 변호사 (0) | 2018.06.20 |
---|---|
부동산 이중매매를 한 매도인에게 배임죄 성립 여부-여수 순천 광양 변호사 (0) | 2018.06.05 |
피해자의 신체를 이용하여 추행행위를 한 경우-여수 순천 광양 변호사 (0) | 2018.06.01 |
500만원 이하 벌금도 집행유예 가능- 여수 변호사 (0) | 2018.01.11 |
항공기 탑승구 복귀 사건 - 여수 변호사 (0) | 20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