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형사사건

[형사] 피해자 본인에게 촬영물을 교부하는 행위가 '제공'에 해당하는지 여부 - 여수 광양 순천 변호사

by 이명일 변호사 2018. 11. 19.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 제1항은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14(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 카메라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신체를 그 의사에 반하여 촬영하거나 그 촬영물을 반포ㆍ판매ㆍ임대ㆍ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ㆍ상영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위 조항은 촬영행위뿐만 아니라 촬영물을 반포·판매·임대·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상영하는 행위까지 처벌하고 있고, 이는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타인의 신체를 촬영한 촬영물이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급속도로 광범위하게 유포됨으로써 피해자에게 엄청난 피해와 고통을 초래하는 사회적 문제를 감안하여, 죄책이나 비난가능성이 촬영행위 못지않게 크다고 할 수 있는 촬영물의 유포행위를 한 자를 촬영자와 동일하게 처벌하기 위해서입니다.

 

 

 

다만 피해자 본인에게 촬영물을 교부한 것이 위 조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공'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되었는데, 이에 대하여 대법원은 "피해자 본인에게 촬영물을 교부하는 행위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제1항의 제공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대법원 2018. 8. 1. 선고 20181481 판결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제1항에서 반포와 별도로 열거된 제공, ‘반포에 이르지 아니하는 무상 교부행위로서 반포할 의사 없이 특정한 1인 또는 소수의 사람에게 무상으로 교부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제1항에서 촬영행위뿐만 아니라 촬영물을 반포·판매·임대·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상영하는 행위까지 처벌하는 것이 촬영물의 유포행위를 방지함으로써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임에 비추어 볼 때, 촬영의 대상이 된 피해자 본인은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제1항에서 말하는 제공의 상대방인 특정한 1인 또는 소수의 사람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다.

 

 

다만 위 사안에서는 피고인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피해자의 신체를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촬영한 행위는 유죄로 판단하였습니다.





여수 광양 순천 형사소송

변호사 이명일